TLS/암호 알고리즘 쉽게 이해하기(4) - Block Cipher Mode
이전 글의 Block Cipher(블럭암호) 암호화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아래 내용에서는 AES로 표기하나, 다른 블럭암호 방식에 공통적인 사항이다).
우선 첫번째 문제는 공격자가 암호키를 몰라도 암호 블럭을 순서를 바꾸어나 다른 내용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AES 암호의 경우 128bits(16bytes) 단위로 암호화 되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거래 정보를 암호화 한다고 해보자.
|
|
이를 AES로 암호를 하게 되면 16bytes 3개의 암호 블럭이 생성된다(패딩을 하지 않는 경우). 만일 공격자가 이 블럭 순서 1,2,3을 2,1,3 으로 바꾸게 되면 from, to 가 바뀌어 거래가 반대로 되어 버린다. 또는 이전의 다른 거래내역에서 금액 부분을 저장해 두었다가 이것으로 교체하게 되면 거래 금액이 달라지게 된다.
두번째 문제는 재전송 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공격자가 위 메시지를 전체를 저장해 두었다가 다시 전송하게 되면 2번의 거래가 이루어 지게 된다.
다른 것들도 있지만 우선은 이 두가지 문제만 고려해보자.
첫번째 문제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1,2,3 세개의 블럭을 서로 연결 시키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서 1,2,3 순번을 데이터와 같이 암호 시에 추가할 수 있다. 두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매 트랜젝션 마다 임의의 난수를 생성하여 이를 같이 암호화 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동일한 데이타를 암호화 하더라도 매번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운용 모드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AES-ECB (Electronic Code Book)
- AES-CBC (Cipher Block Chaining)
- AES-CTR (Counter)
아래 설명에 있는 그림은 모두 Wikipedia - Block cipher mode of operation 에 있는 그림이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은 위키피디아 페이지를 참고할 수 있다.
위키피디아나 다른 문서를 보면 AES-CFB(Cipher FeedBack), AES-OFB(Output FeedBack) 등 다른 방법도 설명하고 있으나, 해당 방식들은 책에서만 있지 실사용은 거의 없는 방법들이다. 여기에서는 이들 방식은 언급하지 않는다.
AES-ECB (Electronic Code Book)
ECB 모드는 모드라고 말하기가 그렇다.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고 AES 암호화 / 복호화를 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이와 같은 모드를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된다.
AES-128 로 ECB 모드를 암호화 하는 예를 들어 보자. 테스트는 리눅스 환경에서 실행하여야 한다.
실제 암호화 되는 패턴을 보면 다음과 같다.
- dd 를 이용하여 2개의 AES 블럭이 되는 36bytes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를 8진수 020 (십육진수 0x10) 으로 tr 로 변경하여 input.bin 으로 저장한다.
|
|
- 이를 openssl CLI를 이용하여 AES-128 ECB 모드로 암호화 한다.
- AES-128 은 128bit 키를 사용하고, 여기에서는 hexadecimal 로 “000102030405060708090a0b0c0d0e0f” 로 입력하였다.
- ‘-nopad’ 로 추가적인 패딩을 하지 않도록 함.
|
|
결과를 보면 0x10 으로 채워진 2개의 블럭은 암호화시 동일한 결과를 가진다.
‘-nopad’ 옵션을 빼고 암호화를 하면 다음과 같다.
- 암호화 결과가 동일한 한개의 블럭이 더 추가되었는데, 이유는 데이타가 16bytes로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 0x10 으로 추가 한블럭의 padding이 추가 되기 때문이다. 관련 설명은 이전글 패딩 을 참고할 수 있다.
|
|
- 암호화 한것을 다시 복호화 해보면 정상적으로 복호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AES-CBC (Cipher Block Chaining)
AES-ECB 방식에 다음과 같은 2가지 사항이 추가되었다.
- IV(Initialization Vector)라는 초기 랜덤값을 추가하여 동일한 데이타에 대해서도 다른 암호화 결과가 나오도록 함
- 앞 블럭의 암호화 결과를 다음 블럭을 암호화 할때 XOR 하여 체인으로 연결
XOR의 경우 동일한 XOR를 반복하는 경우 다시 원래의 데이터가 되는 특성이 있어, 이를 사용한 것이다. 암호화 시에는 먼저, 복호화 시 암호화 절차와 반대로 뒷 부분에 XOR를 해준다.
통신 시, 클라이언트나 서버, 또는 둘 모두 에서 생성한 랜덤값을 IV로 사용하여 통신을 하게되면, 동일한 데이타를 보내도 다른 암호 결과값이 되고, 데이타 순서가 바뀌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복호화 되지 않아 처음에 언급한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penSSL로 암호화 되는 패턴을 보면 다음과 같다.
- IV를 0 으로 해서 실행해보면 첫 블럭은 AES-ECB 방식을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두번째 블럭은 앞 블럭의 암호화 결과가 XOR 되어 암호화 결과가 다른 값이 된다.
|
|
하지만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구조적으로 병렬화가 되지 않아 성능이 떨어진다. 암호화시 앞 블럭의 결과가 나와야만 다음 블럭을 암호화 할수 있으므로 멀티 프로세서를 사용한 병렬화가 불가능하다.
- 패딩과 복호화 시 XOR 가 뒤에 있는 구조로 인하여, 패딩 오라클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오라클 공격에 대해서는 아래 첫번째 블로그를 보면 이해하기 쉽게 원리가 설명되어 있고, 두번째 링크에서는 이를 기반으로한 다양한 공격 방법들에 대해서 찾아 볼 수 있다.
참고로 AES-CBC 모드는 데이타 검증을 위한 HMAC 과 같이 사용하면 이와 같은 공격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있고, TLS 1.2 에서도 이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TLS 1.3 에서는 AES-CBC 가 제외 되었고, AES-GCM 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는 나중에 MAC 관련된 부분에서 다시 설명키로 한다.
AES-CTR (Counter)
CTR 모드는 CBC 모드와 달리 AES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암호화 하는 것이 아니라, Nonce 와 Counter 값을 암호화 후, 이의 결과 값과 평문을 XOR 로 암호화 한다.
참고로 Stream 암호화에서도 다시 언급하겠지만, 완전한 난수열와 XOR를 한 데이타는 난수열을 알지 못하는 이상 어떤 방식으로든 푸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생긴다.
- CBC와는 달리 이전 블럭과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없어 병렬화가 가능하다.
- 블럭 암호화이기도 하지만 그림을 잘 보면 스트림 암호화이기도 하다. (Nonce || Counter)를 암호화한 난수열로 plaintext가 암호화 되는 stream 암호화이기도 하다.
- 스트림 암호이므로 별도의 패딩이 필요없다. 필요한 바이트만 암호화/복호화 하면 된다.
동작 확인은 다음과 같이 해볼 수 있다.
|
|
위의 결과를 보면 IV가 0인 경우의 두번째 블럭(counter가 1이 되는)과 IV가 1인 경우의 첫번째 블럭이 동일하게 암호화 된다. OpenSSL 에서는 IV $\oplus$ Counter 와 같이 XOR 하여 이를 키로 암호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AES 블럭 단위인 16바이트가 아니어도 암호화 가능하다.
|
|
정리
이상으로 블럭 암호화 방식의 운용 모드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이 방식들은 처음에 언급한 것과 같이 암호화한 데이타의 조작이나, 재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식은 정상적인 데이터 인지는 확인할 수 없다. Hash 등을 이용한 체크섬이 추가된다면 이에 대한 보완이 될 것이다. 암호화에서는 key가 추가된 hash 방식인 HMAC(Hash-based Message Authentication Code)와 같이 사용한다. 이 부분은 다음에 설명키로 하고 블럭암호화 모드는 이것으로 마무리한다.